카테고리 없음

뜸의 자극과 생리적 반응

天上 2021. 9. 1. 08:31

뜸의 자극과 생리적 반응

적피부는 장부(臟腑)의 창(窓)이라

할 만큼 피부의 특정 부위는

장부나 신경계통과 관련이 크다.

뜸으로 피부를 태우면

신경이나 조직에 열 또는

온열자극을 주므로

뇌척수신경이나

자율신경계통에

긴장도나 혈구변화를 일으켜

질병을 치료한다.

백혈구(白血球)는

뜸 시술 후 2시간에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8시간 계속된다.

때로는 2배 정도

현저하게 증가하며,

식균작용(食菌作用)도

배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적혈구혈소판(血小板)도

증가한다.

적혈구는 시구(施灸) 후

6주일 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약 반 년 간 계속되며,

증가율은 20%이다.

출혈성 질환에 시구하면

혈액응고시간이 1/3로

단축될 뿐만 아니라

면역력도 강해진다.

 

 

적혈구

혈액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로 산소운반을 위하여 특화된 혈구. 혈액세포 중 가장 수가 많은 것으로 사람의 적혈구는 지름 약 7㎛, 두께 약 2㎛의 원반 모양이고, 혈액 내에 약 25조 개의 적혈구가

m.terms.naver.com

 

백혈구

혈액 속의 혈구세포 중 하나로서 인간의 혈액에서는 수백만 개의 백혈구가 존재하며, 혈액과 조직에서 이물질을 잡아먹거나 항체를 형성함으로써 감염에 저항하여 신체를 보호한다. [ 백혈구의

m.terms.naver.com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