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노래 / 박정희 작사 작곡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새마을 운동 친필 메모
세계가 극찬한 대한민국의 신의 한 수
새마을 운동 1972. 4. 26. (광주)
1. (1) 지금 전국방방곡곡에서 새마을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지금은 대체로 매듭지을 단계)
나도 그동안 여러 부락을 찾아가보고 보고를 통하여 듣고,
(당시에는 '마을'을 한자어로 부락이라고 하 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우리 농민들이 우리도 한 번 잘살아보겠다고 몸부림치는 그 모습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2) 도지사 이하 시장, 군수 기타 모든 일선 공무원들이 토요일도 일요일도 없이
확실히 우리 민족도 잠재적으로 무한한 저력을 가진 민족이다.
(4) 왜 이러한 저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저력을 발휘하지 못했느냐
역시 여기에는 어떠한 계기가 마련되어야 하고 자극이 있어야 된다고 본다.
지난 10년 동안 1,2차 5개년 계획을 통해서 우리 국민들이 땀흘려 이룩한 건설의 성과가
우리 농민들로 하여금 큰 자극을 주었고 오랜 침체 속에서 잠을 깨고
눈을 뜰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고
반대로 의욕과 자신이 왕성한 민족은 역경에 처해서도 이에 굴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전화위복으로 삼을 줄 아는 슬기를 발휘할 줄 안다.
(2) 우리도 그동안 수없이 많은 고난과 시련을 겪어왔다.
◎ 외적으로부터 침략도 받아봤고 공산당의 수없이 많은 도발도 받아봤고,
조해(早害; 서릿발로 인한 피해)다 수해(水害)다 하고 수많은 천재(天災)도 받아봤고,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가난이란 서름(설움)을, 뼈에 사무칠 정도로 겪어봤다.
우연한 일이 아니다.
v 팽배 v 울연
v 팽창
3. 새마을 운동이란 뭐냐(의의, 개념)
(1) 속담에 논어를 읽어도 논어의 뜻을 모른다는 말이 있다.
(2) 시멘트와 철근 가지고 농로 닦고 다리놓는 것이다 운운(云云)...
(3) 쉽게 말하자면 잘살기운동이다.
(4) 어떻게 사는 것이 잘사는 거냐?
o 빈곤탈피
o 소득이 증대되어 농촌이 부유해지고 보다 더 여유있고 품위있고
4. 어떻게 해야 잘 살 수 있느냐?
(1) 방법은 다 알고 있다.
문제는 실천이다.
(2) 부지런해야 잘산다.
(3) 자조정신이 강해야
(4) 온마을 사람이 협동정신이 강해야
혼자 부지런해도 안된다. - 온집안 식구 전부가 부지런해야 한다.
한 집만 부지런해도 안된다.
온 동리사람이 전부 부지런해야 한다.
6. 근면, 자조, 협동정신 } 이것이 새마을 정신이다.
이 정신이 있어야만 새마을 운동은 성공한다 → 즉 잘 살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새마을 운동이란
정신계발운동이요
정신혁명운동이다.
동시에 이 운동은 말만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과 실천이 반
7. 어떻게 행동에 옮기느냐(실천단계)
가. 사업선정을 잘하라(5대고려사항)
(1) 부락민의 총의에 의하여 결정
(2) 부락공동이익에 기여
(3) 부락 특수성 고려 (타부락 모방 일변도 불가)
예 : 마을회관부터...
농로부터...
교량부터...
마을 안길부터....
간이상수도부터...
유실수(과일나무) 공동조림부터... 등
다. 유능한 부락지도자가 있고 없고는 사업성패의 관건이다.
신망이 두텁고, 설득력이 있고 부락발전을 위해서 헌신적이고 희생적 정신 왕성, 추진력이 있는 자
라. 시동이 걸렸다. ?? 가 됐다. (저 글자는 도저히 모르겠다. 아는 게이는 제보바람)
사업선정이 되고
훌륭한 지도자가 있고
부락민의 설득이 됐고
* 계획은 ?은 세워서 ? 적으로 추진.
증대하여 잘 사는 농촌을 만드는 데 있다.....(잘살기 운동)
농어촌이 부유해져서, 우리 농민이 보다 여유있고 품위있고, 보다 문화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으며
이웃끼리 서로 사랑하고 서로 도울 줄 아는 살기 좋은 내 마을 을 만들어
사랑하는 우리 후손들에게 떳떳하게 물려줄 수 있는 내 고장
(6) 전년기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여 성과가 좋은 부락에 집중투자할 예정.
가급적이면 환경정리사업보다는 소득증대에 직접 기여하는 사업들을 검토하라.
성공하지 (못하는 데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을 거다.
하나는... (농민측)
영농에 있어서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이 부족했거나
또 하나는... (정부측)
정부의 지원이 잘못됐다.
자금지원이 적기 방출 불이행
계획생산 불이행
(1) 성과에 대한 성급한 생각을 버리라 (정부관리나 농민들)
최대한 5년 동안을 열심이 지속해야 성과가 난다.
(續자가 생각이 안나서 한글로 쓰신거 귀여우시다)
조림사업은 40년 50년도 걸린다. (우리들 자손에게 물려준다고 생각)
우리 자손들에게 유산으로 물려주기 위한 보람있는 사업이라고 생각하라
행정지원을 해주고 기술공무원들을 자주 출장시켜서 지도를 하는 등
*열심이 하는 부락도 도와주기 힘이 드는데, 기을고(*아마 기어코의 잘못 아닐까 추측됨) 안하겠다는 부락까지 도와줄 여력이 없다.
이런 부락은 언젠가 반드시 따라올 것이다. 그 도와주자.
(3) 반드시 생산과 직결되고, 소득증대가 결과되어야 한다.
과학적인 영농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일선 공무원이나, 농촌 지도기관이나 지역사회에 있는 학교가 지도와 협조를 해야 한다.
(4) 정부는 근면하고 자조정(신)이 강하고 협동정신이 왕성한 우수 부락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을 계속 밀고나간다.
(5) 정부는 이 운동을 근면히 뒷받침
성공한 부락은 반드시 예외없이 부락 부녀회원들의 역할이 대단히 컸다는 것을 알고 있다.
대체로 부녀들은 남자보다 더 알뜰하고 성실하고 적극적이다.
(여자를 점잖게 이르는 말로 '부녀'를 쓰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언어습관이었음)
9) 훌륭한 부락 지도자의 발굴과 양성에 정부는 계속 노력해야 한다.
한 사람의 훌륭한 부락지도자가 한 마을을 완전히 일어나도록 만든 예를 많이 보고 있다.
이들이 이룩한 업적을 기록에 남기고 후?? 역사에 남겨야 한다.
세워서 착수 하고 하나 하나의 공사도 야무딱지게 견고하게 착실히 해야 한다.
(다리를 놓았더니 비 한번 오니 내려 앉는 예는 없도록)
(11) 모든 공무원들은 이 운동에 알 장서로 이 운동을 지도하고 그들 농민을 도와주는 일에
무한한 긍지와 보람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
끝.
글자 하나 하나에 국가와 민족을 향한 진심과 사랑이 느껴진다.
대한민국은 일본 식민지배와 한국전쟁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1970년대부터 2011년까지 129개 국가 53,000여명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새마을교육을 받았으며
'文化 > 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약용[丁若鏞]생가 (0) | 2016.02.28 |
---|---|
조선왕조 500년 실록 (0) | 2016.02.20 |
에르미따쥐 박물관/겨울궁전 (0) | 2016.02.05 |
日本 朝日 TV가 제작한 安重根의사 일대기 (0) | 2016.01.22 |
19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 까지의 자료들 입니다 (0)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