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科別/고혈압,심,뇌血管,

혈전-뇌졸증의 원인

天上 2016. 10. 3. 12:40

혈전-뇌졸증의 원인

 

[혈전이란]

혈전이란 
쉽게 말해 액체의 상태인 피가 고체처럼 굳어져 혈관에 피가

흐르지 못하도록 막아버리는 것으로 오랫동안 고인 물처럼 혈액 오염과

혈관 노화에 의해 생긴다

우리 몸의 심혈관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데, 기온이 낮으면 혈관이

과도하게 경직돼 혈액순환을 방해하게 된다. 기온이 1도만 떨어져도
수축기 혈압이 1.3mmHg, 이완기 혈압이 0.6mmHg 높아진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혈압이 갑자기 오르면 혈관에 손상이 생겨 뇌출혈 등이 생길 수 있고,

혈관 안쪽이 찢어져 혈액응고인자가 활성되어 혈전생성이 촉진되기도 한다.


 

 

 

 

 

[혈전의 발생 원인]

 

당뇨, 고혈압과 같이 혈관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혈전의 발생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서 높아지기 때문에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몸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우리 혈액에서는 크게 두 가지 일이 일어난다.
첫째 혈관 내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혈구성분들이 많아져

단위면적당 혈구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두번째로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단백질이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혈액응고인자에 의해 혈전(피떡)이 잘 생기게 된다

움직이지 않으면 혈액이 정체해서 다리정맥에 고이고 혈전생성원인으로 작용.

운동해서 죽상동맥경화를 예방. 운동 안하면 근육퇴화.

특히 다리 정맥에서 정맥피를 심장으로 올리는데

종아리와 장탄지 근육이 큰 역할을 함.

혈전은 생활 습관에 따라 잘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비만인 사람이 혈전 위험이 증가하는데

지방세포가 많거나 크면 분해도 많고 축적도 많아
지방이 분해되는 동안 혈관을 수축시키거나

염증반응 물질 즉 혈전을 잘 생기게 하는 물질이 많이
분비 되면서 다른 병이 없어도 혈전위험이 증가한다.

 

 


 

[혈전이 유발하는 병]

 

호모시스테인은 메티오닌이란 필수 아미노산이 분해할 때 생성되는 중간대사산물.
역학조사에 의하면 혈중 농도가 높을수록

관상동맥 심질환, 뇌졸중 및 말초혈관질환의 위험도도 높아진다.
즉 호모시스테인은 강력한 산화제역할을 하는 유해한 분자이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아지면 동맥 내벽이 손상되어

동맥경화를 유발-혈전형성에 기여. 신경섬유 보호막인 수초를 파괴시켜

알츠하이머 치매와 연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