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科別/고혈압,심,뇌血管,

혈액순환의 원리 심장, 근육, 호흡

天上 2018. 1. 13. 19:47

혈액순환의 원리 1부 힐링침 정보뉴스

2017. 3. 24.

복사 https://blog.naver.com/selfchim/220965925805


혈액순환의 원리 - 심장, 근육, 호흡



혈액순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심장~!


정말 당연히 심장일까요? 

심장이 혈액순환을 위해서 24시간 펌프 운동을 하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대부분일겁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혈관의 총 길이는 약 지구를 2바퀴반 정도 감을 수 있을 정도로 길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루에 약 1500번 정도 순환한다고 합니다.


자신의 주먹만한 심장이 즉 일종의 펌프가 지구 2바퀴반이나 되는 어마어마한 길이를 하루에 1500번이나 순환하게 한다니 쉽게 이해가 가십니까? 물리학적으로는 거의 설명이 불가능한 펌프입니다. 즉, 심장만의 펌프 운동으로는 절대 혈액 순환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불가사의한 혈액순환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혈액순환의 원리 2부 - 심장, 근육, 호흡



심장의 기능이 당연히 크지만, 온몸에 있는 근육의 도움 없이는 절대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근육의 기본 동작은 긴장과 이완입니다. 즉, 근육을 움직이면 크기가 커지고, 작아지고를 반복합니다.


근육 안에는 수 많은 혈관이 있습니다. 크고 작은 동맥과 정맥 그리고 셀 수 없이 많은 모세혈관까지... 그러므로 근육안에는 굉장히 많은 양의 혈액이 들어 있습니다.


근육이 긴장하면 그 근육안에 있는 혈관은 압박을 받아서 혈관의 크기가 작아지고 혈관안에 있는 혈액이 밀려나가게 됩니다.


근육이 이완하면 그 근육안에 있는 혈관의 압박이 사라지면서 혈관이 커지고 비어 있는 공간 안으로 새로운 혈액이 밀려 들어오게 됩니다.


이러한 반복 운동을 통해 심장의 혈액순환 운동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또거의 근육의 움직임이 없는데... 그러면 잘 때는 어떻게 혈액순환이 이루어지나요?  한 가지 의문점은 평상시 우리가 활동을 하기 때문에 근육을 많이 움직이지만 잘 때는 거의 근육의 움직임이 없는데

그러면 잘 때는 어떻게 혈액순환이 이루어지나요?


혈액순환의 원리 3부 - 심장, 근육, 호흡



잘 때도 혈액순환이 잘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호흡을 통해서 심장의 혈액순환을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호흡이라고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 등을 배출하기 위한 과정으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호흡은 그 이상의 기능이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호흡을 하는 것은 횡경막이라는 인체를 가로로 지르는 막의 상하운동의 결과 입니다. 횡경막은 심, 폐의 아래쪽에 있으며 횡격막 아래에는 간, 비, 신, 위, 대장, 소장, 방광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즉, 오장육부를 가로지르며 거의 중간쯤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오장육부에는 다량의 혈액이 들어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호흡을 하게 되면 횡경막이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며 오장육부에 지속적인 압력을 주게 됩니다. 이때 오장육부에 들어 있는 혈액이 뿜어져 나오거나 새로운 혈액이 오장육부로 들어가는 일련의 순환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 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심장의 혈액순환 운동이 편안하게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큰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 호흡입니다.


이제 혈액순환의 원리를 이해하셨을 겁니다. 그러면 어떻게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출처] 혈액순환의 원리 3부|작성자 한국침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