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불안과 우울을 겪을 가능성이 두 배가량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주리의대 연구팀은 과민성대장증후군과 불안·우울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6~2019년 4000개 미국 병원에 있는 120만 명 이상의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데이터를 조사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특별한 장 질환이 없는데도 설사나 변비, 복통, 복부팽만감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전 인구의 최대 15%가 겪는다고 보고될 정도로 흔하다.
연구 결과,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중 38% 이상이 불안감을 갖고 있었고, 27% 이상은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이는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불안과 우울 발생률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연구팀은 과민성대장증후군과 정신건강 문제 사이의 연관성을 ‘장-뇌 축(gut-brain axis)’ 이론을 근거로 설명했다. 장-뇌 축은 장과 뇌 사이의 양방향 신호 전달 경로다.
즉, 장의 미생물 세포에서 떨어진 부산물이 혈액을 타고 순환하면서 면역이나 물질대사뿐 아니라 뇌 기능, 감정 기복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나타나는 과민성대장증후군도 장-뇌 축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발현에 의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인 예자즈 구우리 박사는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은 우선 스트레스 감정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그 후 명상, 휴식, 건강한 식사, 숙면을 통해 스트레스를 다스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 건강을 개선하려면 과일, 채소, 요구르트를 섭취하는 게 좋다”며
“대신, 가공식품이나 기름진 음식, 붉은 고기, 술, 담배는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아일랜드 의학 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이 장기' 과민한 사람, 우울증 위험 2배 높다.|작성자 용천
'病科別 > 우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 (0) | 2021.10.23 |
---|---|
비타민이 채워지면 우울증이 낫는다 (0) | 2021.02.11 |
적혈구 용적률 높은 노인, 우울증 발병 위험 높아 (0) | 2020.08.18 |
적혈구 용적률 높은 노인, 우울증 발병 위험 높아 (0) | 2020.08.18 |
동치미로 불면증과 우울증 화병을 고친다 (0) | 2020.07.07 |